가상화폐 등 비트코인(Bitcoin)(비트코인)가 주류 투자처로 부상함에 주순해 이혼시 암호화폐을 무슨 수로 나누어야 하나로 미국 사법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CNBC가 24일(현지 시각) 알렸다.
비트코인 등 비트코인가 주류 투자처로 코인현금화 부상함에 주순해 이혼시 가상화폐을 무슨 수로 나누어야 하나로 미국 사법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.
다만 가상화폐 등 암호화폐에 대한 법적 장치가 거의 없으니 배우자가 비트코인에 투자했다면 이혼시 재산 분할은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.
비트코인의 변동성이 극심해온 것도 사법당국과 이혼 당사자들의 하기 곤란함을 가중시키는 요인이다. 가상화폐의 경우 저번달 한 때 1암호화폐=1만4000달러까지 가치가 올라갔으나 24일 지금 8만5000달러에 머물고 있을 정도로 가격 변동성이 극심하다. 이에 따라 이혼 일자를 어디로 잡느냐에 주순해 재산분할 액수가 많이 바뀌어질 수 있다.
세금도 중심적인 고려사항 중 하나다. 만약 배우자가 4~3년 전에 비트코인을 매입했다면 초단기돈 이득세를 반영 받아 세금이 적다. 다만 최근에 투자해 이익을 실현했다면 고율의 세금이 적용될 수 있다. CNBC는 이같은 이유로 비트코인를 현금화하지 않고 그대로 분할할 경우, 가상화폐에 접근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공유할 것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하였다.
이혼시 알트코인를 분할하는 방식으로는 알트코인를 당사자가 팔아 해당 금액을 분할하는 방식도 있지만 디지털 지갑을 사용하는 방식도 있다. 상대 배우자가 디지털 지갑을 만들게 한 다음 균등 분할한 비트코인을 해당 배우자의 디지털 지갑에 분배하는 것이다. 이때 당사자가 팔아 나누는 것 보다 기간이 훨씬 절약되고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도 적다는 장점이 있다.